경기·울산 등 10개 자치단체와 상생협약 확산 지원
울산 북구 염포동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전용 수출 부두 전경. 고용노동부가 자동차 산업의 이중구조 및 노동약자 처우 개선을 위해 지역 상생협력을 도모한다.고용부는 2일 '자동차 산업 상생협약 확산 지원사업'에 국비 97억원, 지방비 21억원 등 총 100억원을 투입해 지역의 자동차 중소 협력업체 및 근로자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기·울산·충남·경남·경북·전북·인천·대구·광주·강원 등 10개 자치단체와 함께한다.'노동시장 이중구조'는 임금과 고용 안정성 등의 근로조건에서 질적으로 큰 차이가 발생해 노동시장이 사실상 두 개로 나뉜 것을 뜻한다.이번 사업에서 고용부는 상생협약 기업의 중소 협력사를 대상으로 인력난 완화, 근로자 복지, 근로환경 개선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자동차업계는 지난 4월25일 상생과 연대로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자는 취지로 상생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에 고용부는 정부 지원을 통해 지역 전반에 상생의 확산을 돕겠다고 밝혔다.특히 10개 지역에 공통적으로 인력난 해소를 위해 15세 이상 신규 입직자에게 최대 300만원의 장려금을 지원한다. 또 청년 뿐 아니라 35세~59세 근로자를 채용하는 기업에도 720만원(월 60만원)에서 최대 1200만원(월 100만원)까지 지원한다.지역별로는 기업의 수요를 반영해 인천·충남·전북·광주 지역엔 건강검진비를, 울산·인천·충남·전북 지역엔 휴가비 등의 복지비를 지원한다. 경남·대구·경기·광주 지역에는 공동이용시설 개·보수도 제공할 예정이다.이정한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자동차 산업 상생협약을 통한 이중구조 개선 노력이 지역 곳곳의 중소 협력업체까지 널리 확산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노동약자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파악하고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