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자료
계명대, 계명산학협력포럼 성료…미래 자동차산업 방향 제시
| 관리자 | 조회수 191

 계명대학교(총장 신일희)는 지난 15일 호텔인터불고 엑스코에서 '제12회 계명산학협력포럼'을 개최했다. 대구 5대 미래산업 중 하나로 주목받는 모빌리티 산업을 중심으로 급변하는 자동차산업 패러다임과 공급망 관리의 혁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포럼에는 신일희 총장을 비롯해 산학협력단 관계자와 이충곤 계명대 가족회사 대표(에스엘 회장), 이재하 총동문회 회장(삼보모터스 회장) 등 기관·기업 대표 및 임직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계명대가 최근 계명산학협력포럼을 개최, 모빌리티 산업 패러다임 변화와 공급망 관리의 혁신 방향을 모색했다.
계명대가 최근 계명산학협력포럼을 개최, 모빌리티 산업 패러다임 변화와 공급망 관리의 혁신 방향을 모색했다.

자동차산업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다양한 주제발표가 마련됐다. 1부 모빌리티세미나에서는 김견 현대차그룹 HMG 경영연구원 원장은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대전환'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원장은 “탄소중립과 AI 기술의 융합으로 자동차는 더 이상 단순한 운송수단이 아닌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플랫폼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고 했다.

2부 세션에서는 김범준 산학부총장이 “계명대 RISE사업을 통해 지역 핵심 산업에 맞춘 실무형 인재양성, 기술 사업화 지원, 기업 맞춤형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부총장은 정책 방향과 함께 향후 추진 전략과 실천 계획을 발표하며 지역 산업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최지석 한국평가데이터 신용평가사업부 팀장은 '자동차 산업 공급망 관리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글로벌 공급망 불안전성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의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특히 AI 기반 예측 시스템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투명하고 유연한 공급망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해 참석자의 큰 관심을 모았다.

신일희 총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지·산·학이 긴밀히 협력해 지역 산업의 혁신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며, “앞으로도 미래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융합적 논의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