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자료
"자동차 환경규제 수출장벽, 공급망 전반 확대…대응역량 강화해야"
| 관리자 | 조회수 330

 KAMA, 제2차 자동차전문위원회 친환경차분과 회의 개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5일 제2차 자동차전문위원회 친환경차분과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KAMA
자동차 환경규제가 차량 자체의 연비, 배출가스 규제에서 공급망 전반의 CO2 규제, 화학물질‧재활용 규제로 확대되면서 개별 기업차원의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소재‧부품업계 등 산업공급망 전체의 대응역량 강화와 LCI 데이터 고도화, 정보공유 플랫폼 구축, 인증체계 구축 등을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5일 ‘국제 환경규제 강화와 한국 자동차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자동차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 제2차 자동차전문위원회 친환경차분과회의를 개최했다.

KAMA가 운영하는 5개 전문위원회 분과 중 친환경차 분과는 서울대학교 민경덕 교수를 위원장으로 전기, 수소, LCA 등 각 분야 전문가 2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유럽 등 선진시장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 및 환경보호를 위한 제품 탄소규제‧유해물질 규제 등을 강화해 역내 산업생태계를 유지하면서도 수출 진입장벽을 높여가는 중”이라며 “수출중심의 국내 산업계가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전문가들의 활발한 토론과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강 회장은 “자동차산업의 환경규제가 전통적인 배기관에서 나오는 배출가스와 연비 규제 중심에서 제품의 원료부터 생산, 사용 및 폐기단계까지의 온실가스를 반영하는 온실가스 규제의 도입과 유해물질 및 재활용 규제의 강화로 인해 전주기 공급망 관리를 강화하도록 변하고 있어 완성차기업 스스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LCI(환경성평가목록) DB 고도화, 검인증제도 구축 및 국제통용성 확보 등 규제대응 인프라 강화와 중·소 소재‧부품업계 등 공급망 전체의 환경규제 대응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신호정 가청정생산지원센터 실장은 “자동차 기업 스스로 대응하는 시대를 넘어서 공급망 차원의 업종간 협업으로 전환되는 시기”라며 “온실가스, 순환경제, 유해 화학물질 등의 규제는 자동차의 철강, 알루미늄의 소재, 배터리 부품 및 자동차 재활용 등 자동차 전주기에 대한 전방위 측면에서 강화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동향 파악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제 환경규제 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업의 탄소발자국 또는 순환원료 이용 촉진 등의 요구는 지속가능한 금융 및 ESG 경영과 연관해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이제 한국의 자동차 산업은 개별 기업보다는 산업군 측면에서, 개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