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자료
강남훈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 “미래차 특별법 제정해야”
| 관리자 | 조회수 317

 제34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 개최

자동차 부품기업 경쟁력 제고 방안
강남훈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이 27일 서울 강남구 자동차회관에서 열린 ‘제34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미래차 전환기 부품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미래차 생산기반 투자유인정책의 확대와 부품기업의 체계적인 전환 지원을 위한 ‘미래차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27일 서울 강남구 자동차회관에서 ‘미래차 전환기, 자동차부품 경쟁력제고 방안’을 주제로 제34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을 개최했다.

강남훈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상반기 완성차 생산과 수출이 증가하면서 부품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 총액도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이후 높아진 원자재와 에너지가격, 인건비, 조달자금의 금리상승 등으로 영업이익률은 둔화되고, 친환경차로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업체간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부품기업의 생산 정상화를 위해서는 외국인 근로자 제도의 개선과 운영자금 확보를 위한 정책자금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부품기업의 미래차 산업전환을 가속화하려면 미래차 생산기반 투자 유인제도의 지속과 확대가 필요하고, 아울러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미래차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시스템산업 실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나라는 중간재 등 특정 국가 의존도가 높고 글로벌 공급망에 깊게 편입된 산업구조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불안요인이 확대되고 있다”며 “자동차산업은 관련 산업의 범위가 매우 넓어 원자재와 부품소재 조달 등 공급망 관리가 중요하고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부품 공급망이 완전히 구축되지 못한 상황에서 급격한 전기차 수요 증가와 각국의 첨단산업 분야에 대한 보호정책 강화 등은 미래차 부문의 공급불안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기존 내연기관 공급망도 공급차질이 우려된다”고 제기했다.

미래 자동차산업 전환기 공급망 안정을 위해서는 “거시적으로는 다른 국가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는 전략적 자율성과 글로벌 산업에서 우리산업 및 기술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전략적 불가결성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미시적으로 유사 입장국과 기술협력,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정책과 관련해서는 “특정 소재와 특정 국가 의존 탈피를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국내 산업 생태계 유지를 위한 수요산업 활성화 등의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권은경 KAMA 조사연구실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KAMA가 실시한 부품기업 경영여건 실태조사 결과 상반기 경영실적과 하반기 매출 여건에 대해서 인식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응답기업 80개사 중 전년 대비 매출액이 증가했다는 비중은 44개사(55.7%)였으나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는 비중은 24개사(30.4%)로 이익률 증가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하반기 매출 여건에 대해서도 40%의 기업은 상반기와 유사할 것이라고 답변한 반면 30%는 원자재 및 에너지 비용 증가에 따른 수익성 약화, 경기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우려 등으로 상반기 대비 악화될 것이라고 답변했다”고 덧붙였다.

설문 결과 “단기적으로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는 높은 원자재 및 에너지가격 등 비용증가를 1순위(27.4%)로 답했으며, 인력부족과 인건비 상승 등 인력운영 애로(24.5%), 미래차 산업전환 준비 부담(13.9%), 수요 위축(12.2%), 자금사정 악화(11.4%) 순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권 실장은 부품기업 단기적 경영여건 개선을 위한 건의 사항으로 ▷외국인 생산인력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누적된 부채 및 고금리 지속으로 단기 운전자금 수요 확대 ▷수요저감 대응을 위한 내수 활성화를 꼽았다.

또 미래차 전환기 중장기적인 부품업계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국내 미래차 생산기반 확대를 위한 투자유인책의 지속과 확대 ▷미래차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 ▷화학물질 규제, 산업 안전규제, 노동규제 등 킬러규제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